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b
- jsp
- springboot
- devops
- Design Patterns
- MySQL
- elasticsearch
- php
- Spring
- Spring Batch
- java
- Web Server
- jenkins
- 맛집
- Gradle
- IntelliJ
- it
- redis
- laravel
- JVM
- Spring Boot
- ReactJS
- tool
- 요리
- linux
- Oracle
- javascript
- AWS
- ubuntu
- Git
- Today
- Total
아무거나
[reactjs] React + Typescript - 1 (시작하기) 본문
React
해당 내용을 보기전 react기본 의 react-app-example-1 부터 선행하시면 좋습니다.
React?
- React Component: 작업의 단위
- Virtual DOM: Virtual DOM으로 그린다음에 변경 되기 전의 상황과 변경 된 후의 Virtual DOM의 State들을 비교해서 바뀐부분(=diff)만 추출해내서 그 부분만 다시 render를 해주는것이 react의 핵심이다.
(State Change -> Compute Diff -> Re-render)
- JSX
- Javascript XML - JSX 자체는 문법
- 리액트에서는 JSX.Element로 그려질 Component를 표현한다.
- React.createElement 함수를 통해서도 JSX.Element 를 만들수 있다.
- [JSX]
class HelloMessag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div>Hello {this.props.name}</div>; } } ReactDOM.render(<HelloMessage name="Jane" />, mountNode);
- [React Element]
class HelloMessag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React.createElement( 'div', null, 'hello ', this.props.name ); } } ReactDOM.render(React.createElement(HelloMessage, { name: 'jane' }), mountNode);
- [JSX]
-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JSX.Element
- 리액트가 그려준다.
- 데이터(props, state)가 변하면, 다시 render를 호출해서 그려준다.
- render가 호출되고, 재호출되는 지점을 파악해야 한다.
- render를 JSX로 표현해야 한다.
- 데이터와 JSX가 합쳐져 하나의 컴포넌트를 이룬다.
- return JSX.Element
react는 props와 state를 어떻게 잘 활용하는지가 중요하다.
Typescript란
잠재적인 버그들을 런타임 전에 미리 잡아줄 수 있다.
- 타입 지정을 통한 오류 예방
- props나 state를 사전에 미리 타입을 정의하여 실행전 에러 확인 가능
즉,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면 사전에 오류를 예방할 수 있으며 수준 높은 자동완성이 작동하게 된다. 만약에 타입스크립트가 없다면 일일히 모듈 코드를 확인해가면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React 프로젝트 생성
기존에는 React를 사용하기 위해선 즉, Javascript버전과 JSX를 해석하기 위해선 Babel을 사용하였다.
babel: javascript transpiler이다. 즉, 최신 버전의 javascript 문법은 브라우저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babel이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문법으로 변환해준다. ES6 등의 최신 문법을 사용해서 코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React 프로젝트 설정
React with Babel [es6, jsx]
- module bundler
- webpack 2
- webpack-dev-server: 서버 test 사용 용도
- loader
- babel-loader: 어떤 javascript 파일 JSX가 들어있는 React Component 작성한 파일을 읽어다가 Module loader들을 통해서 transpile을 해주는걸 설정해주는것이 loader이다.
- babel-core
- babel-preset-env: 어떤 babel을 쓸건지 결정
- babel-plugin-transform-react-jsx: jsx을 transpile하기 위해 사용
- babel-loader: 어떤 javascript 파일 JSX가 들어있는 React Component 작성한 파일을 읽어다가 Module loader들을 통해서 transpile을 해주는걸 설정해주는것이 loader이다.
- react
- react: react component를 만들때 사용
- react-dom: react component를 만든것을 rendering할 때 사용
React with Typescript [ts, tsx]
- module bundler
- webpack 2
- webpack-dev-server
- loader
- ts-loader: webpack에서 file을 읽어다가 typesript -> javascript 변경해서 내려줌
- typescript
- tslint-loader: typescript를 컴파일하기 위해서 typescript의 진짜 컴파일러를 가지고 와야 한다. 즉, typescript 컴파일러가 무조건 있어야한다.
- tslint: 미리 lint를 한다.
- tslint-react: 얘도 같이 설치해야 정상작동한다.
- source-map-loader: 소스의 어느부분에서 잘못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
- ts-loader: webpack에서 file을 읽어다가 typesript -> javascript 변경해서 내려줌
- react(@types/.. 가 있는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할 것)
- react, @types/react
- react-dom, @types/react-dom
webpack.config.js 설정
Sample로 되어있는 webpack을 설정하는 내용에 대해 확인해보자.
[프로젝트구조]
react-typescript-app-example-1
├── .git
├── dist
├── node_modules
├── src
│ └── components
├── index.html
├── .gitignore
├── package.json
├── README.md
├── tsconfig.json
├── tslint.json
├── webpack.config.js
└── yarn.lock
[webpack.config.js]
// input 설정
entry: './src/index.tsx',
// output 설정
output: {
path: path.join(__dirname, 'dist'),
filename: 'bundle.js'
},
// 어떤 파일들을 webpack에서 해석할건지 파일의 확장자를 적어줌.
resolve: {
extensions: [".ts", ".tsx", ".js", ".jsx", ".json"]
},
// transformations 설정
module: {
rules: [
{
test: /\.(ts|tsx)$/,
loader: "ts-loader",
},
{
enforce: "pre",
test: /\.(ts|tsx)$/,
loader: "tslint-loader"
},
{
enforce: "pre",
test: /\.js$/,
loader: "source-map-loader"
}
]
},
// sourcemaps 설정: Enable sourcemaps for debugging webpack's output
devtool: 'source-map',
// server 설정
devServer: {
contentBase: path.join(__dirname, 'src'),
compress: true,
historyApiFallback: true
}
ts-loader만 쓰면 어떻게 컴파일되는지 알 수 없으므로 tsconfig.json을 넣어주어야 한다. tsconfig.json의 내용은 최소설정이 되어있고 원하는 기능을 넣어서 세팅하면 된다. (공식홈페이지에 내용이 있다.)
tslint.json: ts-lint-loader를 돌릴 때 어떤 규칙에 맞게 lint를 처리해줄건지 적어놓는다.
[tslint.json]
{
"extends": ["tslint-react"], // 아까 설치한 tslint-react를 상속받는다.
"rules": {
// log level 설정
"no-console": [
true,
"log",
"error",
...
]
}
}
dev서버 실행
yarn start
이제 세팅은 다 되어있고 Component안에서 원하는 구성을 만들면 된다.
참조
https://www.inflearn.com/course/react-with-typescript#
https://medium.com/@ljs0705
'Javascript & HTML & CSS >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js] React + Typescript - 3 (Component와 props, state) (0) | 2019.11.19 |
---|---|
[reactjs] React + Typescript - 2 (프로젝트 생성) (0) | 2019.11.19 |
[reactjs] React Base - 6 (Update와 Delete) (0) | 2019.11.19 |
[reactjs] React Base - 5 (Create) (0) | 2019.11.19 |
[reactjs] React Base - 4 (Event) (0) | 2019.11.19 |